AHCC 학계 논문 발표
◊ AHCC 학계 논문 발표
1986년 개발이후 세계각지의 학회나 연구회에서 「AHCC」와 「담자균배양 추출물」에
관한 연구 보고가 잇따라서 발표되고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최근의 학회발표의 경위와 변천을 게재합니다.
앞으로도 각 학회에서 「AHCC」에 관한 새로운 보고가 계속 있을 것입니다.
---------------------------------------- ----------------
제124회 일본 약학회 (오사카(大阪)) 「AHCC 및 기타제의 병용에 의한 면역부활작용 및 항암제의 부작용경감 효과」 ㈱アミノアップ化学若命浩二ら ---------------------------------------- ---------------------------- 2004 년1월 제2회 임상수의학 「AtoZ」 (나고야(名古屋)) 「담자균배양 추출물 AHCC의 면역부활 및 抗종양효과에 관한 기초와 임상」 ㈱アミノアップ化学若命浩二ら ---------------------------------------- ---------------------------- 2003 년10월 제6회 일본 보완대체의료학회 학술집회(센다이(仙台)) 「활성산소에 의한 【올니친】탈(脫)탄산효소(ODC)의 유도와 AHCC에 의한 억제 효과」 ㈱アミノアップ化学若命浩二ら ---------------------------------------- ---------------------------- 2003 년6월 제28회 일본 외과연합 학회학술집회(동경(東京)) 「외과계 치료에 있어서의 건강보조 식품의 응용」 우에야마(上山) 야스오(泰男), 마츠이(松井) 요이치(陽一), 카와구치(川口) (칸사이(關西) 의과대학) ---------------------------------------- ---------------------------- 2002 년4월 제93회 미국(America) 암 학회(샌프란시스코) 「Antitumor effects of active hexose correlated cmoopound (AHCC) and genistein concentrated polysaccharide (GCP) in hepatocarcinogenetic mice」 ㈱アミノアップ化学孫歩祥ら ---------------------------------------- ---------------------------- 2001 년11월 제11회 ASEAN 내분비학회(발리, 인도네시아) 「담자균 추출물 AHCC의 래트(rat)에 있어서의 【스토레푸토조토신】유도 당뇨병 및 화학물질유도 흉선(흉골의 뒤쪽에 있는 내분비 선)【아포토시스】에 대한 방호 효과」 ㈱アミノアップ化学若命浩二ら ---------------------------------------- ---------------------------- 2001 년11월7일 제14회【바이오세라피】학회학술집회 총회 「암 면역치료에 있어서의 기준점과 화학요법병용의 의의」 宇野克明、筑丸志津子、細川丈志、生越喬二、幕内博康、東海大学医学部付属病院外科、 医療法人財団コンフォート病院 【목적】악성 종양에 있어 그 진행·발병에는 항암숙주가 있는 세포성 면역기구가 깊게 관여하는 것이 알려져 있고, 이것을 응용한 각종면역치료가 실시되고 있다. 이번 우리들은 진행 위암 증례를 중심으로 식물성다당류를 BRM으로서 응용한 비특이적 면역치료를 실시했다. 게다가 면역학적 파라메타의 추이와 예후의 관계를 조사하고, 바람직한 치료법 및 항암제 병용의 영향을 검토했다. 【방법】1999년2월부터 1999년 8월에 외래진료를 받은 Stage-IV 위암 432 증례를 검토 대상으로 삼았다. 비특이적 면역치료는 희망자 전원에 실시하고 첫 회합 수진시 보다 BRM으로서 버섯계 식물성다당류추출물(AHCC) 및, 허브(herb)계 식물성다당류·아미노산(amino acid)복합체(D-12)의 섭취를 행했다. 여전히 화학요법병용 예는 중지하지 않고, 양자병용에 의한 치료를 계속했다. 면역학적 파라메타의 검토는 말초정맥·헤파린Na채혈을 행하고, PHA 자극에 근거하는 Thl관련【사이토카인】 (【인터루킨)12(IL-12)) 생산 능력을 측정했다. 예후는 Kaplan-Meier법에 의한 누적 생존 검토를 시행했다. 【성적】치료에 의해 82%의 증례에 양호한 Thl관련【사이토카인】(IL-12) 생산 능력의 상승을 인정했다. 예후의 검토에서는 IL-12 생산 능력의 상승·유지 가능예에 있어서, 면역치료를 실시하지 않은 군에 비교해서 유의한 연명을 인정했다. 계속되는 비특이적 면역치료와 화학요법병용 군의 검토에서는, Thl관련【사이토카인】(IL-12)생산 능력상승 군에 있어서 양호한 예후 연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총괄】식물성다당류를 BRM으로서 응용하는 암 면역치료에 있어서, 적절한 Thl관련【사이토카인】 (IL-12)생산 능력의 상승·유지가 중요하다고 시사되었다. 여전히 화학요법의 실시에 즈음해서는 IL-12생산 능력의 측정을 행하고, 그 생산 능력개선의 좋고 나쁨이 치료 예후 추측에 의의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 ---------------------------- 2001 년10월18일 제9회 일본 소화기관련 학회 Th1관련【사이토카인】과 항암제 병용을 인자로한 소화기암·면역치료예의 예후 검토」 우노(宇野) 카쯔아키(克明), 토카이대학(東海大)·외과, 의료법인재단 컴퍼트(comfort) 병원 【목적】각종 암에 있어서의 발생과 진행에는 항암숙주의 세포성 면역기구가 깊게 관여하는 것이 알려지고, 특히 抗종양효과를 소유하는 Th1관련【사이토카인】이 주목되고 있다. 이번 우리들은 면역치료를 실시한 소화기 암 환자의 치료 방침선택 수단을 검토할 목적으로 Th1관련 【사이토카인】값 및 항암제 병용의 유무를 인자로한 예후 검토를 행했다. 【방법】 1999년 2월부터 2001년 3월에 비특이적 면역치료를 실시한 Stage-4소화기 암(위암·결장 암)환자 188명을 검토 대상으로 삼았다. 첫회 수진시 보다 식물성다당류추출물(AHCC 및 D-12)을 BRM으로서 이용한 비특이적 면역치료를 시작하고, 치료 시작후 2개월 시점에서의 말초정맥·헤파린Na채혈을 실시했다. 검토 항목은 PHA자극에 근거하는 Th1관련【사이토카인】(【인타로이킨】12(IL-12))생산 능력이다. 예후검토는 Kaplan-Meier법으로 시행했다. 【성적】두개의 암腫에 있어서 예후 검토에서는, 비특이적 면역치료에 반응해서 IL-12 생산 능력의 상승을 인정한 군으로 연명 기간이 높은 것으로 인정되었다. 항암제인자 추가에서는 IL-12생산 능력의 양호군으로 새로운 연명 기간의 연장을 인정하고, 동(同), 불량군에서의 연명 기간에 단축을 인정했다. 【결론】비특이적 면역치료에 있어서 IL-12의 생산 능력향상이 예후 연장에 기여하는 인자인 것이 확인되었다. 또 항암제병용에 즈음하는 IL-12생산 능력의 사전측정은 예후 연장 방침선택에 유용한 것이 시사되었다. ---------------------------------------- ---------------------------- 1999 년10월10-11일 제2회 일본 대체 의료학회학술집회 「AHCC의 당뇨병에 대한 임상·기초적 고찰」 岩本光存欣1)、小砂憲一2)、三浦健人2)、医療法人延山会1)、アミノアップ化学2) 【목적】AHCC는 담자균추출물이며, 면역부활작용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 메커니즘(mechanism)은 다면적이여서, 생활 습관병등의 질환에 대한 증례등도 보고되어 있다. 거기에서 AHCC의 당뇨병에 대한 유효성을 밝히기 위해서 임상·기초의 양면에서 검토했다. 【방법】임상검토:당뇨병환자로 AHCC(3g/day)을 6개월 이상 복용한 13 증례에 대해서, 수시 혈당, Glico 헤모글로빈(hemoglobin) A1C의 추이를 주요 지표로 해서 해석을 했다. 기초검토:Wister래트(rat) (6W♂)에 【스토레푸토조토신】(450mg/kg.i.v)을 투여하고, Ⅰ형태당뇨병 모델(model)이라고 했다. 미리 AHCC(3% 용액)을 마시게 한 군과 대조군(control) 에 대해서 일반상태, 혈당값, 췌장도 세포등의 비교를 행했다. 【결과·고찰】임상검토:전체를 통해서 혈당값이 강하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320→117까지 저하한 증례도 인정을 받았다. 더욱 혈당값의 저하가 인정을 받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Glico 헤모글로빈(hemoglobin)A1C이 저하한 흥미 깊은 증례도 인정을 받았다. 기초검토:AHCC을 투여한 당뇨병 모델(model) 래트(rat)는, 혈당값의 저하, 【인슐린】의 분비, 췌장도 세포파괴의 방지등이 확인되었다. 이것들의 결과보다, AHCC효과의 메커니즘(mechanism)의 하나로서 【인슐린】의 분비 촉진, 췌장도 세포의 보호등에 의해 당뇨병을 개선시켜, 더욱 Glico 헤모글로빈(hemoglobin)A1C값을 저하시키는 것에 의해 당뇨병성 합병증의 예방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 시사되었다. 「악성질환 환자에 대한 AHCC 용량 의존의 고찰」 岩本光存欣1)、小砂憲一2)、若命浩二2)、医療法人延山会1)、アミノアップ化学2) 【목적】AHCC 3g/day를 먹고 있는 암 환자에 대해서, 증례에 따라서는 6g/day로 증량하지 않으면 종양 마커(marker)의 저하가 없는 케이스(case)가 있었다. 6g/day로 증량했을 때의 AHCC 투여량과 종양 마커(marker)의 저하에 관련성이 보여진 증례를 몇 개 소개한다. 【대상】수술후 재발의 가능성이 있는 환자에 대해서 AHCC 3g/day를 투여하고, 종양 마커(marker)의 추이에 대해서 검토를 행했다. 이 안에서 종양 마커(marker)가 증가 경향에 있었던 환자에 대하여 AHCC을 6g/day로 해서 투여를 행했을 때의 경과에 대해서 검토했다. 【성적】대표적 증례(발췌):57세 남성방광 암 수술후 머지않아 재발, 항암제투여는 본인의 희망에 의해 중지. AHCC 3g/day를 계속해서 먹고 있지만 종양 마커(marker)가 상승하고 있었다 (IAP:1586μg/ml). AHCC를 6g/day로 증량한 결과 약2개월째 정상값(IAP:500μg/ml)이하로 감소. 그 후, 마커(marker)는 기준값을 유지하고 있어, 본인은 식욕도 있고 건강하다. 그 밖의 증례(간 암:AFP, 자궁 암:CA125, 방광 암:IAP, 유방암:CA15-3, 폐암:CEA)등을 보고할 예정이다. 【결어】 AHCC의 사용량, 병용 약품등은 혈액 마커(marker)등을 모니터하면서 투여량을 결정 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 AHCC는 기능성식품이지만 병의 용태에 따라서는 의사의 관리나 어드바이스(advice) 아래 사용되어야 가장 유용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금후의 과제로서 증례 총수에 대한 유효예의 산출, 종양 마커(marker)의 변화와 QOL(삶의질)의 상관 관련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 ---------------------------- 1999 년4월 22-24일 제34회 유럽(Europe) 외과학회 「AHCC의 간장 수술후 환자의 예후에 대한 개선 효과」 칸사이(關西) 의과대학 우에야마(上山) 야스오(泰男) 지금까지 면역부활에 의한 암에 대한 여러 가지 요법을 실행했다. 예를 들면, BCG, 【피시바닐】, PSK, 인터페론(interferon), IL-12등, 몇개의 BRM이라고 불리는 제제가 임상적으로 채용되어 왔지만, 이들 제제는 임상에서 유효성이 해명될때 까지는 이르지 않고 있다. AHCC는 새로운 BRM으로서 개발되었다. AHCC는 수종의 버섯으로부터 얻을 수 있었던 추출물이다. 그리고 이 임상시험은 간장 수술후 환자의 예후에 대한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개발된 것이다. 이 시험은 조직학적으로 간세포 암이다라고 진단된 126명의 환자에 대하여 행하여진 것이다. 이 모든 환자는 육안으로 간세포 암을 뿌리부터 근치절제한 증례이며, 1992년2월∼1998년9월까지의 증례다. 126명의 환자 가운데 40명은 1994년8월∼1998년9월 사이에 간장적출 수술을 받고, 더욱 AHCC(3g/day)을 수술후에 마시게 했다 (AHCC그룹). 더욱, 나머지 간장 암 수술후의 환자(컨트롤(control) 그룹: 이 환자는 수술후 AHCC를 마시게 한적이 없다) 이라고 AHCC그룹(group)을 생존율, 재발율에 대해서 비교했다. 수술 1년후 혈청의 종상 마커(marker) 수준(level)(α-【페토푸로테인)과 PIVKAⅡ)에 대해서 AHCC그룹(group)은 분명히 컨트롤(control) 그룹(group)에서 보다도 수치가 낮았다. 결과적으로 간장 암 환자의 수술후의 예후에 관해서 AHCC투여 군에 개선 효과가 보여졌다. 금후 더욱, 세세한 실험을 거듭하고, AHCC의 효과의 메커니즘(mechanism)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 ---------------------------- 1999 년3달29-31일
제119연회 일본 약학회 29( 「Active Hexose Correlated Compound (AHCC)의 【스토레푸토조토신】유도 당뇨병 래트(rat)에 대한 효과」 ㈱アミノアップ化学・生物化学研究室若命浩二、 【목적】Active Hexose Correlated Compound(AHCC)은 담자균류의 배양 추출물이며, 면역부활작용이 있는 다당류로서 알려져 있다. 실제로 이 AHCC의 약리작용에 대해서는 BRM으로서의 작용, 즉 【사이토카인】(TNF, IFN, IL- 12)의 유도 작용, 간질환의 예방·치료 작용등이 확인되어 있다. 이번 우리들은, AHCC의 【스토레푸토조토신】(STZ)유발 당뇨병 래트(rat)에 대한 작용에 대해서 혈당값, 랑게르한스섬(islets of Langerhans)의 조직 관찰을 중심으로 검토를 갔다. 【실험】당뇨병 모델(model)의 작성은 SD계 웅성 래트(rat)(4주 나이) 1군 5∼8마리에 무처리의 정상군, AHCC 4% 물을 자유섭취시킨 AHCC투여 군, STZ(40mg/kg i.v.)처리한 당뇨병군, AHCC 4% 물 10일간전 투여+STZ의 병용 투여 군을 작성했다. STZ투여 다음날, 7일후, 14일후에 채혈을 행해 혈청중의 혈당값, 【인슐린】값을 측정했다. 또한, 14일후에 취장, 간장을 적출하고, 취장에 대해서는 랑게르한스섬(islets of Langerhans)의 【인슐린】 항체염색을 행해 광학현미경에서 관찰을 행했다. 【결과 및 고찰】당뇨병군에 있어서는 STZ를 투여한 다음날보다 【인슐린】값이 감소하고, 혈당값의 상승이 확인되어, 거기에 따른 음수량의 증가, 체중의 감소등이 확인되었다. 한편, AHCC병용 투여 군에 있어서는 혈당값의 상승, 【인슐린】의 감소가 당뇨병군과 비교해서 유의에 억제되었다. 또한, 음수량의 증가, 체중의 감소도 유의에 억제되었다. 더욱, 취장조직에 있어서 AHCC병용 투여 군에서는 랑게르한스섬(islets of Langerhans)B세포의 파괴가 억제되어, 【인슐린】의 분비도 조직 수준(level)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보다 AHCC를 래트(rat)에 미리 투여하는 것에 의해, STZ에 의한 취장장기장해,또한 그것에 따르는 당뇨병상태의 예방이 확인되었다. 이것에 의해 AHCC는 STZ유래의 프리(free) 라디컬(Radical)을 소거하는 抗산화 물질로서 작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29( 「AHCC의 항암제에 의한 간장해경감 효과」 ㈱アミノアップ化学・生物化学研究室孫歩祥、石黒綾、向田朋美、若命浩二、小砂憲一 【목적】AHCC과 항암제와 동시에 투여하는 것에 의해, 항암 작용을 향상하거나, 항암제의 부작용을 억제하거나 하는 효과가 임상으로 보여져 왔다. 당연구실은, 항암제의 중심인 부작용에 대해서 동물 모델(model)을 쓰고, 지금까지 골수억제나 탈모라고 한 항암제가 일으키는 부작용을 경감하는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번에는 간장해라고 한 부작용에 대해서 검토했다. 【방법】 8주된 수컷, ddY계 마우스에 Mercaptopurine(6-MP) (30mg/kg/day)과 Methotrexate(MTX)(2.5mg/kg/day)을 병용으로 주 5회 4주일 경구투여 했다. AHCC는 1g/kg으로 동시에 경구투여 했다. 그 후, 동물의 체중과 장기의 중량의 변화, 말초피중의 세포수와 골수의 조혈상황, 간장해에 관한 혈청중의 생화학지표와 약품대사 효소 및 간장의 조직 변화를 조사했다. 【결과】 6-MP과 MTX를 병용 투여하면, 동물체중의 감소, 간장의 비대, 빈혈, 골수억제, 혈청 【토란스아미나제】의 상승, 알부민(albumin)과 【토리구리세라이도】의 강하, 간약품대사 효소활성의 저하, 간조직의 염증과, 간세포의 변성과 회사가 인정을 받았다. 그렇지만 AHCC를 동시 투여하는 것에 의해 간장해의 증상과 지표의 이상 및 그 밖의 항암제에 의한 부작용은 개선 혹은 완전히 방지되었다. 【결론】AHCC는 동물 모델(model)에 있어서, 항암제가 일으키는 골수억제나 탈모라고 한 부작용을 경감하는 것 이외에, 간장해에 대하여도 명확한 개선 효과가 시사되었다. 그 메커니즘(mechanism)은 AHCC의 핵산대사나 기능성단백질에의 보호 작용과 생각된다. ---------------------------------------- ---------------------------- 1998 년11월22-23일 제1회 일본 대체 의료학회학술총회(현재/일본 보완 대체 의료학회) 「항암제가 유발하는 골수억제 및 탈모에 대한 AHCC의 경감 작용」 ㈱アミノアップ化学孫歩祥ら 동물실험에 의해 항암제가 유발하는 골수억제와 탈모 모델(model)을 작성했다. AHCC에는 이것들의 부작용을 경감하는 것이 보고 되었다. ---------------------------------------- ---------------------------- 1998 년10월24-27일 IMPACT OF BIOTECHNOLOGY ON CANCER(NICE, Reduction of side effects of anti-cancer drugs by AHCC, mycelian extracts of cultured basidiomycetes 」 B. Sun 1), M. Fukuhara 2), K. Kosuna 1), 1) Amino Up Chemical, Department of Pharmaceutical Sciences, National Institute of Public Health 동물실험 모델(model)에 있어서, 항암제가 일으키는 부작용을 AHCC이 경감하는 것을 보고. CY 및 5-FU의 투여에 의해 항암제유발 골수억제 모델(model)을 Ara-C의 투여에 의한 탈모 모델(model)을 작성했다. AHCC의 투여는 이 어느쪽의 부작용도 억제하는 것을 발표. ---------------------------------------- ---------------------------- 1998 년10월14-10월15일 제34회 일본 간 암 연구회 「간세포 암 수술후 보조 요법으로서의 AHCC투여가 예후에 끼치는 영향」 関西医科大学第1外科、アミノアップ化学ら 1992 년2월부터 현재까지 간절제 치유 증례 123예의 수술후에 AHCC 1일 3g경구투여43예, 미투여 80예에 대해서 검토를 행한 결과, 1년후 2년후의 생존율은, AHCC투여 군쪽이 높고, 종상 마커(marker)에 대해서도 AHCC투여 군쪽에 확실한 저하가 인정을 받았다. 이것들은, 간세포 암 수술후 AHCC투여가 재발을 억제하고, 생존율의 개선에 연결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 ---------------------------- 1998 년9월 「Combination therapy of active hexose correlated compound (AHCC) plus UFT significantly reduces the metastasis of rat mammary carcinoma 」 (Anti-Cancer Drugs 1998,9,343-350) K. Matsushita, et al., Laboratory of Pathology, Cancer Institute, 래트(rat) 짊어지지 않는 모델(model)에 있어서, AHCC와 항암제(UFT)의 경구투여가 림프(lympha) 절전위를 억제하는 것을 보고. UFT 을 단독으로 투여한 군과 비교하고, UFT 과 AHCC의 병용 투여 군에서는, 원발종양증식의 억제, 생존 기간의 연장, NK세포와 매크로(macro) 파지(phage)의 활성화, TNF-α과 IL-1α의 발현 유도가 인정을 받았다.
◊ AHCC 학계 논문 발표
1986년 개발이후 세계각지의 학회나 연구회에서 「AHCC」와 「담자균배양 추출물」에 관한 연구 보고가 잇따라서 발표되고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최근의 학회발표의 경위와 변천을 게재합니다. 앞으로도 각 학회에서 「AHCC」에 관한 새로운 보고가 계속 있을 것입니다. ---------------------------------------- ----------------
제124회 일본 약학회 (오사카(大阪)) 「AHCC 및 기타제의 병용에 의한 면역부활작용 및 항암제의 부작용경감 효과」 ㈱アミノアップ化学若命浩二ら ---------------------------------------- ---------------------------- 2004 년1월 제2회 임상수의학 「AtoZ」 (나고야(名古屋)) 「담자균배양 추출물 AHCC의 면역부활 및 抗종양효과에 관한 기초와 임상」 ㈱アミノアップ化学若命浩二ら ---------------------------------------- ---------------------------- 2003 년10월 제6회 일본 보완대체의료학회 학술집회(센다이(仙台)) 「활성산소에 의한 【올니친】탈(脫)탄산효소(ODC)의 유도와 AHCC에 의한 억제 효과」 ㈱アミノアップ化学若命浩二ら ---------------------------------------- ---------------------------- 2003 년6월 제28회 일본 외과연합 학회학술집회(동경(東京)) 「외과계 치료에 있어서의 건강보조 식품의 응용」 우에야마(上山) 야스오(泰男), 마츠이(松井) 요이치(陽一), 카와구치(川口) (칸사이(關西) 의과대학) ---------------------------------------- ---------------------------- 2002 년4월 제93회 미국(America) 암 학회(샌프란시스코) 「Antitumor effects of active hexose correlated cmoopound (AHCC) and genistein concentrated polysaccharide (GCP) in hepatocarcinogenetic mice」 ㈱アミノアップ化学孫歩祥ら ---------------------------------------- ---------------------------- 2001 년11월 제11회 ASEAN 내분비학회(발리, 인도네시아) 「담자균 추출물 AHCC의 래트(rat)에 있어서의 【스토레푸토조토신】유도 당뇨병 및 화학물질유도 흉선(흉골의 뒤쪽에 있는 내분비 선)【아포토시스】에 대한 방호 효과」 ㈱アミノアップ化学若命浩二ら ---------------------------------------- ---------------------------- 2001 년11월7일 제14회【바이오세라피】학회학술집회 총회 「암 면역치료에 있어서의 기준점과 화학요법병용의 의의」 宇野克明、筑丸志津子、細川丈志、生越喬二、幕内博康、東海大学医学部付属病院外科、 医療法人財団コンフォート病院 【목적】악성 종양에 있어 그 진행·발병에는 항암숙주가 있는 세포성 면역기구가 깊게 관여하는 것이 알려져 있고, 이것을 응용한 각종면역치료가 실시되고 있다. 이번 우리들은 진행 위암 증례를 중심으로 식물성다당류를 BRM으로서 응용한 비특이적 면역치료를 실시했다. 게다가 면역학적 파라메타의 추이와 예후의 관계를 조사하고, 바람직한 치료법 및 항암제 병용의 영향을 검토했다. 【방법】1999년2월부터 1999년 8월에 외래진료를 받은 Stage-IV 위암 432 증례를 검토 대상으로 삼았다. 비특이적 면역치료는 희망자 전원에 실시하고 첫 회합 수진시 보다 BRM으로서 버섯계 식물성다당류추출물(AHCC) 및, 허브(herb)계 식물성다당류·아미노산(amino acid)복합체(D-12)의 섭취를 행했다. 여전히 화학요법병용 예는 중지하지 않고, 양자병용에 의한 치료를 계속했다. 면역학적 파라메타의 검토는 말초정맥·헤파린Na채혈을 행하고, PHA 자극에 근거하는 Thl관련【사이토카인】 (【인터루킨)12(IL-12)) 생산 능력을 측정했다. 예후는 Kaplan-Meier법에 의한 누적 생존 검토를 시행했다. 【성적】치료에 의해 82%의 증례에 양호한 Thl관련【사이토카인】(IL-12) 생산 능력의 상승을 인정했다. 예후의 검토에서는 IL-12 생산 능력의 상승·유지 가능예에 있어서, 면역치료를 실시하지 않은 군에 비교해서 유의한 연명을 인정했다. 계속되는 비특이적 면역치료와 화학요법병용 군의 검토에서는, Thl관련【사이토카인】(IL-12)생산 능력상승 군에 있어서 양호한 예후 연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총괄】식물성다당류를 BRM으로서 응용하는 암 면역치료에 있어서, 적절한 Thl관련【사이토카인】 (IL-12)생산 능력의 상승·유지가 중요하다고 시사되었다. 여전히 화학요법의 실시에 즈음해서는 IL-12생산 능력의 측정을 행하고, 그 생산 능력개선의 좋고 나쁨이 치료 예후 추측에 의의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 ---------------------------- 2001 년10월18일 제9회 일본 소화기관련 학회 Th1관련【사이토카인】과 항암제 병용을 인자로한 소화기암·면역치료예의 예후 검토」 우노(宇野) 카쯔아키(克明), 토카이대학(東海大)·외과, 의료법인재단 컴퍼트(comfort) 병원 【목적】각종 암에 있어서의 발생과 진행에는 항암숙주의 세포성 면역기구가 깊게 관여하는 것이 알려지고, 특히 抗종양효과를 소유하는 Th1관련【사이토카인】이 주목되고 있다. 이번 우리들은 면역치료를 실시한 소화기 암 환자의 치료 방침선택 수단을 검토할 목적으로 Th1관련 【사이토카인】값 및 항암제 병용의 유무를 인자로한 예후 검토를 행했다. 【방법】 1999년 2월부터 2001년 3월에 비특이적 면역치료를 실시한 Stage-4소화기 암(위암·결장 암)환자 188명을 검토 대상으로 삼았다. 첫회 수진시 보다 식물성다당류추출물(AHCC 및 D-12)을 BRM으로서 이용한 비특이적 면역치료를 시작하고, 치료 시작후 2개월 시점에서의 말초정맥·헤파린Na채혈을 실시했다. 검토 항목은 PHA자극에 근거하는 Th1관련【사이토카인】(【인타로이킨】12(IL-12))생산 능력이다. 예후검토는 Kaplan-Meier법으로 시행했다. 【성적】두개의 암腫에 있어서 예후 검토에서는, 비특이적 면역치료에 반응해서 IL-12 생산 능력의 상승을 인정한 군으로 연명 기간이 높은 것으로 인정되었다. 항암제인자 추가에서는 IL-12생산 능력의 양호군으로 새로운 연명 기간의 연장을 인정하고, 동(同), 불량군에서의 연명 기간에 단축을 인정했다. 【결론】비특이적 면역치료에 있어서 IL-12의 생산 능력향상이 예후 연장에 기여하는 인자인 것이 확인되었다. 또 항암제병용에 즈음하는 IL-12생산 능력의 사전측정은 예후 연장 방침선택에 유용한 것이 시사되었다. ---------------------------------------- ---------------------------- 1999 년10월10-11일 제2회 일본 대체 의료학회학술집회 「AHCC의 당뇨병에 대한 임상·기초적 고찰」 岩本光存欣1)、小砂憲一2)、三浦健人2)、医療法人延山会1)、アミノアップ化学2) 【목적】AHCC는 담자균추출물이며, 면역부활작용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 메커니즘(mechanism)은 다면적이여서, 생활 습관병등의 질환에 대한 증례등도 보고되어 있다. 거기에서 AHCC의 당뇨병에 대한 유효성을 밝히기 위해서 임상·기초의 양면에서 검토했다. 【방법】임상검토:당뇨병환자로 AHCC(3g/day)을 6개월 이상 복용한 13 증례에 대해서, 수시 혈당, Glico 헤모글로빈(hemoglobin) A1C의 추이를 주요 지표로 해서 해석을 했다. 기초검토:Wister래트(rat) (6W♂)에 【스토레푸토조토신】(450mg/kg.i.v)을 투여하고, Ⅰ형태당뇨병 모델(model)이라고 했다. 미리 AHCC(3% 용액)을 마시게 한 군과 대조군(control) 에 대해서 일반상태, 혈당값, 췌장도 세포등의 비교를 행했다. 【결과·고찰】임상검토:전체를 통해서 혈당값이 강하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320→117까지 저하한 증례도 인정을 받았다. 더욱 혈당값의 저하가 인정을 받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Glico 헤모글로빈(hemoglobin)A1C이 저하한 흥미 깊은 증례도 인정을 받았다. 기초검토:AHCC을 투여한 당뇨병 모델(model) 래트(rat)는, 혈당값의 저하, 【인슐린】의 분비, 췌장도 세포파괴의 방지등이 확인되었다. 이것들의 결과보다, AHCC효과의 메커니즘(mechanism)의 하나로서 【인슐린】의 분비 촉진, 췌장도 세포의 보호등에 의해 당뇨병을 개선시켜, 더욱 Glico 헤모글로빈(hemoglobin)A1C값을 저하시키는 것에 의해 당뇨병성 합병증의 예방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 시사되었다. 「악성질환 환자에 대한 AHCC 용량 의존의 고찰」 岩本光存欣1)、小砂憲一2)、若命浩二2)、医療法人延山会1)、アミノアップ化学2) 【목적】AHCC 3g/day를 먹고 있는 암 환자에 대해서, 증례에 따라서는 6g/day로 증량하지 않으면 종양 마커(marker)의 저하가 없는 케이스(case)가 있었다. 6g/day로 증량했을 때의 AHCC 투여량과 종양 마커(marker)의 저하에 관련성이 보여진 증례를 몇 개 소개한다. 【대상】수술후 재발의 가능성이 있는 환자에 대해서 AHCC 3g/day를 투여하고, 종양 마커(marker)의 추이에 대해서 검토를 행했다. 이 안에서 종양 마커(marker)가 증가 경향에 있었던 환자에 대하여 AHCC을 6g/day로 해서 투여를 행했을 때의 경과에 대해서 검토했다. 【성적】대표적 증례(발췌):57세 남성방광 암 수술후 머지않아 재발, 항암제투여는 본인의 희망에 의해 중지. AHCC 3g/day를 계속해서 먹고 있지만 종양 마커(marker)가 상승하고 있었다 (IAP:1586μg/ml). AHCC를 6g/day로 증량한 결과 약2개월째 정상값(IAP:500μg/ml)이하로 감소. 그 후, 마커(marker)는 기준값을 유지하고 있어, 본인은 식욕도 있고 건강하다. 그 밖의 증례(간 암:AFP, 자궁 암:CA125, 방광 암:IAP, 유방암:CA15-3, 폐암:CEA)등을 보고할 예정이다. 【결어】 AHCC의 사용량, 병용 약품등은 혈액 마커(marker)등을 모니터하면서 투여량을 결정 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 AHCC는 기능성식품이지만 병의 용태에 따라서는 의사의 관리나 어드바이스(advice) 아래 사용되어야 가장 유용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금후의 과제로서 증례 총수에 대한 유효예의 산출, 종양 마커(marker)의 변화와 QOL(삶의질)의 상관 관련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 ---------------------------- 1999 년4월 22-24일 제34회 유럽(Europe) 외과학회 「AHCC의 간장 수술후 환자의 예후에 대한 개선 효과」 칸사이(關西) 의과대학 우에야마(上山) 야스오(泰男) 지금까지 면역부활에 의한 암에 대한 여러 가지 요법을 실행했다. 예를 들면, BCG, 【피시바닐】, PSK, 인터페론(interferon), IL-12등, 몇개의 BRM이라고 불리는 제제가 임상적으로 채용되어 왔지만, 이들 제제는 임상에서 유효성이 해명될때 까지는 이르지 않고 있다. AHCC는 새로운 BRM으로서 개발되었다. AHCC는 수종의 버섯으로부터 얻을 수 있었던 추출물이다. 그리고 이 임상시험은 간장 수술후 환자의 예후에 대한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개발된 것이다. 이 시험은 조직학적으로 간세포 암이다라고 진단된 126명의 환자에 대하여 행하여진 것이다. 이 모든 환자는 육안으로 간세포 암을 뿌리부터 근치절제한 증례이며, 1992년2월∼1998년9월까지의 증례다. 126명의 환자 가운데 40명은 1994년8월∼1998년9월 사이에 간장적출 수술을 받고, 더욱 AHCC(3g/day)을 수술후에 마시게 했다 (AHCC그룹). 더욱, 나머지 간장 암 수술후의 환자(컨트롤(control) 그룹: 이 환자는 수술후 AHCC를 마시게 한적이 없다) 이라고 AHCC그룹(group)을 생존율, 재발율에 대해서 비교했다. 수술 1년후 혈청의 종상 마커(marker) 수준(level)(α-【페토푸로테인)과 PIVKAⅡ)에 대해서 AHCC그룹(group)은 분명히 컨트롤(control) 그룹(group)에서 보다도 수치가 낮았다. 결과적으로 간장 암 환자의 수술후의 예후에 관해서 AHCC투여 군에 개선 효과가 보여졌다. 금후 더욱, 세세한 실험을 거듭하고, AHCC의 효과의 메커니즘(mechanism)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 ---------------------------- 1999 년3달29-31일
제119연회 일본 약학회 29( 「Active Hexose Correlated Compound (AHCC)의 【스토레푸토조토신】유도 당뇨병 래트(rat)에 대한 효과」 ㈱アミノアップ化学・生物化学研究室若命浩二、 【목적】Active Hexose Correlated Compound(AHCC)은 담자균류의 배양 추출물이며, 면역부활작용이 있는 다당류로서 알려져 있다. 실제로 이 AHCC의 약리작용에 대해서는 BRM으로서의 작용, 즉 【사이토카인】(TNF, IFN, IL- 12)의 유도 작용, 간질환의 예방·치료 작용등이 확인되어 있다. 이번 우리들은, AHCC의 【스토레푸토조토신】(STZ)유발 당뇨병 래트(rat)에 대한 작용에 대해서 혈당값, 랑게르한스섬(islets of Langerhans)의 조직 관찰을 중심으로 검토를 갔다. 【실험】당뇨병 모델(model)의 작성은 SD계 웅성 래트(rat)(4주 나이) 1군 5∼8마리에 무처리의 정상군, AHCC 4% 물을 자유섭취시킨 AHCC투여 군, STZ(40mg/kg i.v.)처리한 당뇨병군, AHCC 4% 물 10일간전 투여+STZ의 병용 투여 군을 작성했다. STZ투여 다음날, 7일후, 14일후에 채혈을 행해 혈청중의 혈당값, 【인슐린】값을 측정했다. 또한, 14일후에 취장, 간장을 적출하고, 취장에 대해서는 랑게르한스섬(islets of Langerhans)의 【인슐린】 항체염색을 행해 광학현미경에서 관찰을 행했다. 【결과 및 고찰】당뇨병군에 있어서는 STZ를 투여한 다음날보다 【인슐린】값이 감소하고, 혈당값의 상승이 확인되어, 거기에 따른 음수량의 증가, 체중의 감소등이 확인되었다. 한편, AHCC병용 투여 군에 있어서는 혈당값의 상승, 【인슐린】의 감소가 당뇨병군과 비교해서 유의에 억제되었다. 또한, 음수량의 증가, 체중의 감소도 유의에 억제되었다. 더욱, 취장조직에 있어서 AHCC병용 투여 군에서는 랑게르한스섬(islets of Langerhans)B세포의 파괴가 억제되어, 【인슐린】의 분비도 조직 수준(level)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보다 AHCC를 래트(rat)에 미리 투여하는 것에 의해, STZ에 의한 취장장기장해,또한 그것에 따르는 당뇨병상태의 예방이 확인되었다. 이것에 의해 AHCC는 STZ유래의 프리(free) 라디컬(Radical)을 소거하는 抗산화 물질로서 작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29( 「AHCC의 항암제에 의한 간장해경감 효과」 ㈱アミノアップ化学・生物化学研究室孫歩祥、石黒綾、向田朋美、若命浩二、小砂憲一 【목적】AHCC과 항암제와 동시에 투여하는 것에 의해, 항암 작용을 향상하거나, 항암제의 부작용을 억제하거나 하는 효과가 임상으로 보여져 왔다. 당연구실은, 항암제의 중심인 부작용에 대해서 동물 모델(model)을 쓰고, 지금까지 골수억제나 탈모라고 한 항암제가 일으키는 부작용을 경감하는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번에는 간장해라고 한 부작용에 대해서 검토했다. 【방법】 8주된 수컷, ddY계 마우스에 Mercaptopurine(6-MP) (30mg/kg/day)과 Methotrexate(MTX)(2.5mg/kg/day)을 병용으로 주 5회 4주일 경구투여 했다. AHCC는 1g/kg으로 동시에 경구투여 했다. 그 후, 동물의 체중과 장기의 중량의 변화, 말초피중의 세포수와 골수의 조혈상황, 간장해에 관한 혈청중의 생화학지표와 약품대사 효소 및 간장의 조직 변화를 조사했다. 【결과】 6-MP과 MTX를 병용 투여하면, 동물체중의 감소, 간장의 비대, 빈혈, 골수억제, 혈청 【토란스아미나제】의 상승, 알부민(albumin)과 【토리구리세라이도】의 강하, 간약품대사 효소활성의 저하, 간조직의 염증과, 간세포의 변성과 회사가 인정을 받았다. 그렇지만 AHCC를 동시 투여하는 것에 의해 간장해의 증상과 지표의 이상 및 그 밖의 항암제에 의한 부작용은 개선 혹은 완전히 방지되었다. 【결론】AHCC는 동물 모델(model)에 있어서, 항암제가 일으키는 골수억제나 탈모라고 한 부작용을 경감하는 것 이외에, 간장해에 대하여도 명확한 개선 효과가 시사되었다. 그 메커니즘(mechanism)은 AHCC의 핵산대사나 기능성단백질에의 보호 작용과 생각된다. ---------------------------------------- ---------------------------- 1998 년11월22-23일 제1회 일본 대체 의료학회학술총회(현재/일본 보완 대체 의료학회) 「항암제가 유발하는 골수억제 및 탈모에 대한 AHCC의 경감 작용」 ㈱アミノアップ化学孫歩祥ら 동물실험에 의해 항암제가 유발하는 골수억제와 탈모 모델(model)을 작성했다. AHCC에는 이것들의 부작용을 경감하는 것이 보고 되었다. ---------------------------------------- ---------------------------- 1998 년10월24-27일 IMPACT OF BIOTECHNOLOGY ON CANCER(NICE, Reduction of side effects of anti-cancer drugs by AHCC, mycelian extracts of cultured basidiomycetes 」 B. Sun 1), M. Fukuhara 2), K. Kosuna 1), 1) Amino Up Chemical, Department of Pharmaceutical Sciences, National Institute of Public Health 동물실험 모델(model)에 있어서, 항암제가 일으키는 부작용을 AHCC이 경감하는 것을 보고. CY 및 5-FU의 투여에 의해 항암제유발 골수억제 모델(model)을 Ara-C의 투여에 의한 탈모 모델(model)을 작성했다. AHCC의 투여는 이 어느쪽의 부작용도 억제하는 것을 발표. ---------------------------------------- ---------------------------- 1998 년10월14-10월15일 제34회 일본 간 암 연구회 「간세포 암 수술후 보조 요법으로서의 AHCC투여가 예후에 끼치는 영향」 関西医科大学第1外科、アミノアップ化学ら 1992 년2월부터 현재까지 간절제 치유 증례 123예의 수술후에 AHCC 1일 3g경구투여43예, 미투여 80예에 대해서 검토를 행한 결과, 1년후 2년후의 생존율은, AHCC투여 군쪽이 높고, 종상 마커(marker)에 대해서도 AHCC투여 군쪽에 확실한 저하가 인정을 받았다. 이것들은, 간세포 암 수술후 AHCC투여가 재발을 억제하고, 생존율의 개선에 연결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 ---------------------------- 1998 년9월 「Combination therapy of active hexose correlated compound (AHCC) plus UFT significantly reduces the metastasis of rat mammary carcinoma 」 (Anti-Cancer Drugs 1998,9,343-350) K. Matsushita, et al., Laboratory of Pathology, Cancer Institute, 래트(rat) 짊어지지 않는 모델(model)에 있어서, AHCC와 항암제(UFT)의 경구투여가 림프(lympha) 절전위를 억제하는 것을 보고. UFT 을 단독으로 투여한 군과 비교하고, UFT 과 AHCC의 병용 투여 군에서는, 원발종양증식의 억제, 생존 기간의 연장, NK세포와 매크로(macro) 파지(phage)의 활성화, TNF-α과 IL-1α의 발현 유도가 인정을 받았다.
원문
| |||||||||||||||||
1986年の開発以降、世界各地の学会や研究会にて「AHCC」や「担子菌培養抽出物」に関する研究報告が相次いで発表されています。ここでは、最近の学会発表の経緯と変遷を掲載します。今後も、各学会での「AHCC」などに関する新しい報告が期待されるでしょう。 AHCC首都圏健康相談室では、「噂や流行」だけでなく客観的な目をもって「AHCC」を見つめていきたいと思っています。また、新しい情報が入り次第、このページにて皆様に報告致します。尚、下記は学会発表の歩みであり、各研究者の所属や研究主体は、現在と異なる場合もありますのでご注意下さ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