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AHCC 학계 논문 발표

알 수 없는 사용자 2008. 9. 16. 17:17

AHCC 학계 논문 발표

 

1986년 개발이후 세계각지의 학회나 연구회에서 「AHCC」와 「담자균배양 추출물」에

관한 연구 보고가 잇따라서 발표되고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최근의 학회발표의 경위와 변천을 게재합니다.

앞으로도 각 학회에서 「AHCC」에 관한 새로운 보고가 계속 있을 것입니다.

---------------------------------------- ----------------

2004 3

124회 일본 약학회 (오사카(大阪))

AHCC 및 기타제의 병용에 의한 면역부활작용 및 항암제의 부작용경감 효과」

㈱アミノアップ化学若命浩二ら

---------------------------------------- ----------------------------

2004 1

2회 임상수의학 「AtoZ (나고야(名古屋))

「담자균배양 추출물 AHCC의 면역부활 및 抗종양효과에 관한 기초와 임상」

㈱アミノアップ化学若命浩二ら

---------------------------------------- ----------------------------

2003 10

6회 일본 보완대체의료학회 학술집회(센다이(仙台))

「활성산소에 의한 【올니친】탈()탄산효소(ODC)의 유도와 AHCC에 의한 억제 효과」

㈱アミノアップ化学若命浩二ら

---------------------------------------- ----------------------------

2003 6

28회 일본 외과연합 학회학술집회(동경(東京))

「외과계 치료에 있어서의 건강보조 식품의 응용」

우에야마(上山) 야스오(泰男), 마츠이(松井) 요이치(陽一), 카와구치(川口) (칸사이(關西) 의과대학)

---------------------------------------- ----------------------------

2002 4

93회 미국(America) 암 학회(샌프란시스코)

Antitumor effects of active hexose correlated cmoopound (AHCC) and genistein concentrated

polysaccharide (GCP) in hepatocarcinogenetic mice

㈱アミノアップ化学孫歩祥ら

---------------------------------------- ----------------------------

2001 11

11 ASEAN 내분비학회(발리, 인도네시아)

「담자균 추출물 AHCC의 래트(rat)에 있어서의 【스토레푸토조토신】유도 당뇨병 및 화학물질유도

흉선(흉골의 뒤쪽에 있는 내분비 선)【아포토시스】에 대한 방호 효과」

㈱アミノアップ化学若命浩二ら

---------------------------------------- ----------------------------

2001 117

14회【바이오세라피】학회학술집회 총회

「암 면역치료에 있어서의 기준점과 화학요법병용의 의의」

宇野克明、筑丸志津子、細川丈志、生越喬二、幕内博康、東海大学医学部付属病院外科、

医療法人財団コンフォート病院

 

【목적】악성 종양에 있어 그 진행·발병에는 항암숙주가 있는 세포성 면역기구가 깊게 관여하는 것이

알려져 있고, 이것을 응용한 각종면역치료가 실시되고 있다.

이번 우리들은 진행 위암 증례를 중심으로 식물성다당류를 BRM으로서 응용한 비특이적 면역치료를 실시했다.

게다가 면역학적 파라메타의 추이와 예후의 관계를 조사하고, 바람직한 치료법 및 항암제 병용의 영향을 검토했다.

【방법】19992월부터 1999 8월에 외래진료를 받은 Stage-IV 위암 432 증례를 검토 대상으로 삼았다.

비특이적 면역치료는 희망자 전원에 실시하고 첫 회합 수진시 보다 BRM으로서 버섯계 식물성다당류추출물(AHCC)

, 허브(herb)계 식물성다당류·아미노산(amino acid)복합체(D-12)의 섭취를 행했다.

여전히 화학요법병용 예는 중지하지 않고, 양자병용에 의한 치료를 계속했다.

면역학적 파라메타의 검토는 말초정맥·헤파린Na채혈을 행하고, PHA 자극에 근거하는 Thl관련【사이토카인】

(【인터루킨)12(IL-12)) 생산 능력을 측정했다.

예후는 Kaplan-Meier법에 의한 누적 생존 검토를 시행했다.

【성적】치료에 의해 82%의 증례에 양호한 Thl관련【사이토카인】(IL-12) 생산 능력의 상승을 인정했다.

예후의 검토에서는 IL-12 생산 능력의 상승·유지 가능예에 있어서, 면역치료를 실시하지 않은 군에 비교해서

유의한 연명을 인정했다.

계속되는 비특이적 면역치료와 화학요법병용 군의 검토에서는, Thl관련【사이토카인】(IL-12)생산 능력상승 군에

있어서 양호한 예후 연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총괄】식물성다당류를 BRM으로서 응용하는 암 면역치료에 있어서, 적절한 Thl관련【사이토카인】

(IL-12)생산 능력의 상승·유지가 중요하다고 시사되었다.

여전히 화학요법의 실시에 즈음해서는 IL-12생산 능력의 측정을 행하고, 그 생산 능력개선의 좋고 나쁨이

 치료 예후 추측에 의의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 ----------------------------

2001 1018

9회 일본 소화기관련 학회

Th1관련【사이토카인】과 항암제 병용을 인자로한 소화기암·면역치료예의 예후 검토」

우노(宇野) 카쯔아키(克明), 토카이대학(東海大)·외과, 의료법인재단 컴퍼트(comfort) 병원

 

【목적】각종 암에 있어서의 발생과 진행에는 항암숙주의 세포성 면역기구가 깊게 관여하는 것이 알려지고,

특히 抗종양효과를 소유하는 Th1관련【사이토카인】이 주목되고 있다.

이번 우리들은 면역치료를 실시한 소화기 암 환자의 치료 방침선택 수단을 검토할 목적으로 Th1관련

【사이토카인】값 및 항암제 병용의 유무를 인자로한 예후 검토를 행했다.

 

【방법】 1999 2월부터 2001 3월에 비특이적 면역치료를 실시한 Stage-4소화기 암(위암·결장 암)환자

188명을 검토 대상으로 삼았다.

첫회 수진시 보다 식물성다당류추출물(AHCC D-12)을 BRM으로서 이용한 비특이적 면역치료를 시작하고,

치료 시작후 2개월 시점에서의 말초정맥·헤파린Na채혈을 실시했다.

검토 항목은 PHA자극에 근거하는 Th1관련【사이토카인】(【인타로이킨】12(IL-12))생산 능력이다.

예후검토는 Kaplan-Meier법으로 시행했다.

【성적】두개의 암腫에 있어서 예후 검토에서는, 비특이적 면역치료에 반응해서 IL-12 생산 능력의 상승을

인정한 군으로 연명 기간이 높은 것으로 인정되었다.

항암제인자 추가에서는 IL-12생산 능력의 양호군으로 새로운 연명 기간의 연장을 인정하고, (),

불량군에서의 연명 기간에 단축을 인정했다.

【결론】비특이적 면역치료에 있어서 IL-12의 생산 능력향상이 예후 연장에 기여하는 인자인 것이 확인되었다.

또 항암제병용에 즈음하는 IL-12생산 능력의 사전측정은 예후 연장 방침선택에 유용한 것이 시사되었다.

---------------------------------------- ----------------------------

1999 1010-11

2회 일본 대체 의료학회학술집회

AHCC의 당뇨병에 대한 임상·기초적 고찰」

岩本光存欣1)、小砂憲一2)、三浦健人2)、医療法人延山会1)、アミノアップ化学2

 

【목적】AHCC는 담자균추출물이며, 면역부활작용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 메커니즘(mechanism)은 다면적이여서, 생활 습관병등의 질환에 대한 증례등도 보고되어 있다.

거기에서 AHCC의 당뇨병에 대한 유효성을 밝히기 위해서 임상·기초의 양면에서 검토했다.

【방법】임상검토:당뇨병환자로 AHCC(3g/day) 6개월 이상 복용한 13 증례에 대해서, 수시 혈당, Glico

헤모글로빈(hemoglobin) A1C의 추이를 주요 지표로 해서 해석을 했다.

기초검토:Wister래트(rat) (6W♂)에 【스토레푸토조토신】(450mg/kg.i.v)을 투여하고, Ⅰ형태당뇨병

모델(model)이라고 했다.

미리 AHCC(3% 용액)을 마시게 한 군과 대조군(control) 에 대해서 일반상태, 혈당값, 췌장도 세포등의

비교를 행했다.

【결과·고찰】임상검토:전체를 통해서 혈당값이 강하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320117까지 저하한 증례도

인정을 받았다.

더욱 혈당값의 저하가 인정을 받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Glico 헤모글로빈(hemoglobin)A1C이 저하한

흥미 깊은 증례도 인정을 받았다.

기초검토:AHCC을 투여한 당뇨병 모델(model) 래트(rat), 혈당값의 저하, 【인슐린】의 분비, 췌장도

세포파괴의 방지등이 확인되었다.

이것들의 결과보다, AHCC효과의 메커니즘(mechanism)의 하나로서 【인슐린】의 분비 촉진, 췌장도

세포의 보호등에 의해 당뇨병을 개선시켜, 더욱 Glico 헤모글로빈(hemoglobin)A1C값을 저하시키는 것에

의해 당뇨병성 합병증의 예방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 시사되었다.

 

「악성질환 환자에 대한 AHCC 용량 의존의 고찰」

岩本光存欣1)、小砂憲一2)、若命浩二2)、医療法人延山会1)、アミノアップ化学2

 

【목적】AHCC 3g/day를 먹고 있는 암 환자에 대해서, 증례에 따라서는 6g/day로 증량하지 않으면

종양 마커(marker)의 저하가 없는 케이스(case)가 있었다.

6g/day로 증량했을 때의 AHCC 투여량과 종양 마커(marker)의 저하에 관련성이 보여진 증례를 몇 개 소개한다.

【대상】수술후 재발의 가능성이 있는 환자에 대해서 AHCC 3g/day를 투여하고, 종양 마커(marker)

추이에 대해서 검토를 행했다.

이 안에서 종양 마커(marker)가 증가 경향에 있었던 환자에 대하여 AHCC 6g/day로 해서 투여를 행했을

때의 경과에 대해서 검토했다.

 

【성적】대표적 증례(발췌):57세 남성방광 암 수술후 머지않아 재발, 항암제투여는 본인의 희망에 의해 중지.

AHCC 3g/day를 계속해서 먹고 있지만 종양 마커(marker)가 상승하고 있었다 (IAP:1586μg/ml).

AHCC 6g/day로 증량한 결과 약2개월째 정상값(IAP:500μg/ml)이하로 감소.

그 후, 마커(marker)는 기준값을 유지하고 있어, 본인은 식욕도 있고 건강하다.

그 밖의 증례(간 암:AFP, 자궁 암:CA125, 방광 암:IAP, 유방암:CA15-3, 폐암:CEA)등을 보고할 예정이다.

 

【결어】 AHCC의 사용량, 병용 약품등은 혈액 마커(marker)등을 모니터하면서 투여량을 결정 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 AHCC는 기능성식품이지만 병의 용태에 따라서는 의사의 관리나 어드바이스(advice) 아래 사용되어야

 가장 유용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금후의 과제로서 증례 총수에 대한 유효예의 산출, 종양 마커(marker)의 변화와 QOL(삶의질)의 상관 관련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 ----------------------------

1999 4 22-24

34회 유럽(Europe) 외과학회

AHCC의 간장 수술후 환자의 예후에 대한 개선 효과」

칸사이(關西) 의과대학 우에야마(上山) 야스오(泰男)

 

지금까지 면역부활에 의한 암에 대한 여러 가지 요법을 실행했다.

예를 들면, BCG, 【피시바닐】, PSK, 인터페론(interferon), IL-12, 몇개의 BRM이라고 불리는 제제가

임상적으로 채용되어 왔지만, 이들 제제는 임상에서 유효성이 해명될때 까지는 이르지 않고 있다.

AHCC는 새로운 BRM으로서 개발되었다.

AHCC는 수종의 버섯으로부터 얻을 수 있었던 추출물이다.

그리고 이 임상시험은 간장 수술후 환자의 예후에 대한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개발된 것이다.

이 시험은 조직학적으로 간세포 암이다라고 진단된 126명의 환자에 대하여 행하여진 것이다.

이 모든 환자는 육안으로 간세포 암을 뿌리부터 근치절제한 증례이며, 19922월∼19989월까지의 증례다.

126명의 환자 가운데 40명은 19948월∼19989월 사이에 간장적출 수술을 받고, 더욱 AHCC(3g/day)

수술후에 마시게 했다 (AHCC그룹).

더욱, 나머지 간장 암 수술후의 환자(컨트롤(control) 그룹: 이 환자는 수술후 AHCC를 마시게 한적이 없다)

이라고 AHCC그룹(group)을 생존율, 재발율에 대해서 비교했다.

수술 1년후 혈청의 종상 마커(marker) 수준(level)(α-【페토푸로테인)과 PIVKAⅡ)에 대해서

AHCC그룹(group)은 분명히 컨트롤(control) 그룹(group)에서 보다도 수치가 낮았다.

결과적으로 간장 암 환자의 수술후의 예후에 관해서 AHCC투여 군에 개선 효과가 보여졌다.

금후 더욱, 세세한 실험을 거듭하고, AHCC의 효과의 메커니즘(mechanism)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 ----------------------------

1999 329-31

119연회 일본 약학회

29(PO)10-012

Active Hexose Correlated Compound (AHCC)의 【스토레푸토조토신】유도 당뇨병 래트(rat)에 대한 효과」

㈱アミノアップ化学・生物化学研究室若命浩二、歩祥、小砂憲一

 

【목적】Active Hexose Correlated Compound(AHCC)은 담자균류의 배양 추출물이며, 면역부활작용이 있는

다당류로서 알려져 있다.

실제로 이 AHCC의 약리작용에 대해서는 BRM으로서의 작용, 즉 【사이토카인】(TNF, IFN, IL- 12)

유도 작용, 간질환의 예방·치료 작용등이 확인되어 있다.

이번 우리들은, AHCC의 【스토레푸토조토신】(STZ)유발 당뇨병 래트(rat)에 대한 작용에 대해서 혈당값,

랑게르한스섬(islets of Langerhans)의 조직 관찰을 중심으로 검토를 갔다.

【실험】당뇨병 모델(model)의 작성은 SD계 웅성 래트(rat)(4주 나이) 1 58마리에 무처리의 정상군,

AHCC 4% 물을 자유섭취시킨 AHCC투여 군, STZ(40mg/kg i.v.)처리한 당뇨병군, AHCC 4% 10일간전

투여+STZ의 병용 투여 군을 작성했다.

STZ투여 다음날, 7일후, 14일후에 채혈을 행해 혈청중의 혈당값, 【인슐린】값을 측정했다.

또한, 14일후에 취장, 간장을 적출하고, 취장에 대해서는 랑게르한스섬(islets of Langerhans)의 【인슐린】

항체염색을 행해 광학현미경에서 관찰을 행했다.

【결과 및 고찰】당뇨병군에 있어서는 STZ를 투여한 다음날보다 【인슐린】값이 감소하고, 혈당값의

상승이 확인되어, 거기에 따른 음수량의 증가, 체중의 감소등이 확인되었다.

한편, AHCC병용 투여 군에 있어서는 혈당값의 상승, 【인슐린】의 감소가 당뇨병군과 비교해서 유의에 억제되었다.

또한, 음수량의 증가, 체중의 감소도 유의에 억제되었다.

더욱, 취장조직에 있어서 AHCC병용 투여 군에서는 랑게르한스섬(islets of Langerhans)B세포의 파괴가 억제되어,

【인슐린】의 분비도 조직 수준(level)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보다 AHCC를 래트(rat)에 미리 투여하는 것에 의해, STZ에 의한 취장장기장해,또한 그것에

따르는 당뇨병상태의 예방이 확인되었다.

이것에 의해 AHCC는 STZ유래의 프리(free) 라디컬(Radical)을 소거하는 抗산화 물질로서 작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29(PO)10-013

AHCC의 항암제에 의한 간장해경감 효과」

㈱アミノアップ化学・生物化学研究室孫歩祥、石黒綾、向田朋美、若命浩二、小砂憲一

 

【목적】AHCC과 항암제와 동시에 투여하는 것에 의해, 항암 작용을 향상하거나, 항암제의 부작용을 억제하거나

하는 효과가 임상으로 보여져 왔다.

당연구실은, 항암제의 중심인 부작용에 대해서 동물 모델(model)을 쓰고, 지금까지 골수억제나 탈모라고 한

항암제가 일으키는 부작용을 경감하는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번에는 간장해라고 한 부작용에 대해서 검토했다.

【방법】 8주된 수컷, ddY계 마우스에 Mercaptopurine(6-MP) (30mg/kg/day)

Methotrexate(MTX)(2.5mg/kg/day)을 병용으로 주 5 4주일 경구투여 했다.

AHCC 1g/kg으로 동시에 경구투여 했다.

그 후, 동물의 체중과 장기의 중량의 변화, 말초피중의 세포수와 골수의 조혈상황, 간장해에 관한 혈청중의

생화학지표와 약품대사 효소 및 간장의 조직 변화를 조사했다.

【결과】 6-MP MTX를 병용 투여하면, 동물체중의 감소, 간장의 비대, 빈혈, 골수억제, 혈청

【토란스아미나제】의 상승, 알부민(albumin)과 【토리구리세라이도】의 강하, 간약품대사 효소활성의 저하,

간조직의 염증과, 간세포의 변성과 회사가 인정을 받았다.

그렇지만 AHCC를 동시 투여하는 것에 의해 간장해의 증상과 지표의 이상 및 그 밖의 항암제에 의한

부작용은 개선 혹은 완전히 방지되었다.

【결론】AHCC는 동물 모델(model)에 있어서, 항암제가 일으키는 골수억제나 탈모라고 한 부작용을

경감하는 것 이외에, 간장해에 대하여도 명확한 개선 효과가 시사되었다.

그 메커니즘(mechanism) AHCC의 핵산대사나 기능성단백질에의 보호 작용과 생각된다.

---------------------------------------- ----------------------------

1998 1122-23

1회 일본 대체 의료학회학술총회(현재/일본 보완 대체 의료학회)

「항암제가 유발하는 골수억제 및 탈모에 대한 AHCC의 경감 작용」

㈱アミノアップ化学孫歩祥ら

동물실험에 의해 항암제가 유발하는 골수억제와 탈모 모델(model)을 작성했다.

AHCC에는 이것들의 부작용을 경감하는 것이 보고 되었다.

---------------------------------------- ----------------------------

1998 1024-27

IMPACT OF BIOTECHNOLOGY ON CANCER(NICE, FRANCE)

Reduction of side effects of anti-cancer drugs by AHCC, mycelian extracts of cultured   basidiomycetes

B. Sun 1),   M. Fukuhara 2),   K. Kosuna 1), 1) Amino Up Chemical, Co. Ltd., 2)

Department of Pharmaceutical Sciences, National Institute of Public Health

동물실험 모델(model)에 있어서, 항암제가 일으키는 부작용을 AHCC이 경감하는 것을 보고.

CY 5-FU의 투여에 의해 항암제유발 골수억제 모델(model) Ara-C의 투여에 의한 탈모 모델(model)을 작성했다.

AHCC의 투여는 이 어느쪽의 부작용도 억제하는 것을 발표.

---------------------------------------- ----------------------------

1998 1014-1015

34회 일본 간 암 연구회

「간세포 암 수술후 보조 요법으로서의 AHCC투여가 예후에 끼치는 영향」

関西医科大学第1外科、アミノアップ化学ら

1992 2월부터 현재까지 간절제 치유 증례 123예의 수술후에  AHCC  1 3g경구투여43, 미투여 80예에

대해서 검토를 행한 결과, 1년후  2년후의 생존율은, AHCC투여 군쪽이 높고, 종상 마커(marker)에 대해서도

AHCC투여 군쪽에 확실한 저하가 인정을 받았다.

이것들은, 간세포 암 수술후 AHCC투여가 재발을 억제하고, 생존율의 개선에 연결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 ----------------------------

1998 9

Combination therapy of active hexose correlated compound (AHCC)

plus UFT significantly reduces the metastasis of rat mammary carcinoma

(Anti-Cancer Drugs 1998,9,343-350)

K. Matsushita, et al., Laboratory of Pathology, Cancer Institute,

Hokkaido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래트(rat) 짊어지지 않는 모델(model)에 있어서, AHCC와 항암제(UFT)의 경구투여가 림프(lympha) 절전위를

억제하는 것을 보고.

UFT 을 단독으로 투여한 군과 비교하고, UFT AHCC의 병용 투여 군에서는, 원발종양증식의 억제,

생존 기간의 연장, NK세포와 매크로(macro) 파지(phage)의 활성화, TNF-α과 IL-1α의 발현 유도가 인정을 받았다.

 

 원문

AHCC 학계 논문 발표

 

1986년 개발이후 세계각지의 학회나 연구회에서 「AHCC」와 「담자균배양 추출물」에

관한 연구 보고가 잇따라서 발표되고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최근의 학회발표의 경위와 변천을 게재합니다.

앞으로도 각 학회에서 「AHCC」에 관한 새로운 보고가 계속 있을 것입니다.

---------------------------------------- ----------------

2004 3

124회 일본 약학회 (오사카(大阪))

AHCC 및 기타제의 병용에 의한 면역부활작용 및 항암제의 부작용경감 효과」

㈱アミノアップ化学若命浩二ら

---------------------------------------- ----------------------------

2004 1

2회 임상수의학 「AtoZ (나고야(名古屋))

「담자균배양 추출물 AHCC의 면역부활 및 抗종양효과에 관한 기초와 임상」

㈱アミノアップ化学若命浩二ら

---------------------------------------- ----------------------------

2003 10

6회 일본 보완대체의료학회 학술집회(센다이(仙台))

「활성산소에 의한 【올니친】탈()탄산효소(ODC)의 유도와 AHCC에 의한 억제 효과」

㈱アミノアップ化学若命浩二ら

---------------------------------------- ----------------------------

2003 6

28회 일본 외과연합 학회학술집회(동경(東京))

「외과계 치료에 있어서의 건강보조 식품의 응용」

우에야마(上山) 야스오(泰男), 마츠이(松井) 요이치(陽一), 카와구치(川口) (칸사이(關西) 의과대학)

---------------------------------------- ----------------------------

2002 4

93회 미국(America) 암 학회(샌프란시스코)

Antitumor effects of active hexose correlated cmoopound (AHCC) and genistein concentrated

polysaccharide (GCP) in hepatocarcinogenetic mice

㈱アミノアップ化学孫歩祥ら

---------------------------------------- ----------------------------

2001 11

11 ASEAN 내분비학회(발리, 인도네시아)

「담자균 추출물 AHCC의 래트(rat)에 있어서의 【스토레푸토조토신】유도 당뇨병 및 화학물질유도

흉선(흉골의 뒤쪽에 있는 내분비 선)【아포토시스】에 대한 방호 효과」

㈱アミノアップ化学若命浩二ら

---------------------------------------- ----------------------------

2001 117

14회【바이오세라피】학회학술집회 총회

「암 면역치료에 있어서의 기준점과 화학요법병용의 의의」

宇野克明、筑丸志津子、細川丈志、生越喬二、幕内博康、東海大学医学部付属病院外科、

医療法人財団コンフォート病院

 

【목적】악성 종양에 있어 그 진행·발병에는 항암숙주가 있는 세포성 면역기구가 깊게 관여하는 것이

알려져 있고, 이것을 응용한 각종면역치료가 실시되고 있다.

이번 우리들은 진행 위암 증례를 중심으로 식물성다당류를 BRM으로서 응용한 비특이적 면역치료를 실시했다.

게다가 면역학적 파라메타의 추이와 예후의 관계를 조사하고, 바람직한 치료법 및 항암제 병용의 영향을 검토했다.

【방법】19992월부터 1999 8월에 외래진료를 받은 Stage-IV 위암 432 증례를 검토 대상으로 삼았다.

비특이적 면역치료는 희망자 전원에 실시하고 첫 회합 수진시 보다 BRM으로서 버섯계 식물성다당류추출물(AHCC)

, 허브(herb)계 식물성다당류·아미노산(amino acid)복합체(D-12)의 섭취를 행했다.

여전히 화학요법병용 예는 중지하지 않고, 양자병용에 의한 치료를 계속했다.

면역학적 파라메타의 검토는 말초정맥·헤파린Na채혈을 행하고, PHA 자극에 근거하는 Thl관련【사이토카인】

(【인터루킨)12(IL-12)) 생산 능력을 측정했다.

예후는 Kaplan-Meier법에 의한 누적 생존 검토를 시행했다.

【성적】치료에 의해 82%의 증례에 양호한 Thl관련【사이토카인】(IL-12) 생산 능력의 상승을 인정했다.

예후의 검토에서는 IL-12 생산 능력의 상승·유지 가능예에 있어서, 면역치료를 실시하지 않은 군에 비교해서

유의한 연명을 인정했다.

계속되는 비특이적 면역치료와 화학요법병용 군의 검토에서는, Thl관련【사이토카인】(IL-12)생산 능력상승 군에

있어서 양호한 예후 연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총괄】식물성다당류를 BRM으로서 응용하는 암 면역치료에 있어서, 적절한 Thl관련【사이토카인】

(IL-12)생산 능력의 상승·유지가 중요하다고 시사되었다.

여전히 화학요법의 실시에 즈음해서는 IL-12생산 능력의 측정을 행하고, 그 생산 능력개선의 좋고 나쁨이

 치료 예후 추측에 의의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 ----------------------------

2001 1018

9회 일본 소화기관련 학회

Th1관련【사이토카인】과 항암제 병용을 인자로한 소화기암·면역치료예의 예후 검토」

우노(宇野) 카쯔아키(克明), 토카이대학(東海大)·외과, 의료법인재단 컴퍼트(comfort) 병원

 

【목적】각종 암에 있어서의 발생과 진행에는 항암숙주의 세포성 면역기구가 깊게 관여하는 것이 알려지고,

특히 抗종양효과를 소유하는 Th1관련【사이토카인】이 주목되고 있다.

이번 우리들은 면역치료를 실시한 소화기 암 환자의 치료 방침선택 수단을 검토할 목적으로 Th1관련

【사이토카인】값 및 항암제 병용의 유무를 인자로한 예후 검토를 행했다.

 

【방법】 1999 2월부터 2001 3월에 비특이적 면역치료를 실시한 Stage-4소화기 암(위암·결장 암)환자

188명을 검토 대상으로 삼았다.

첫회 수진시 보다 식물성다당류추출물(AHCC D-12)을 BRM으로서 이용한 비특이적 면역치료를 시작하고,

치료 시작후 2개월 시점에서의 말초정맥·헤파린Na채혈을 실시했다.

검토 항목은 PHA자극에 근거하는 Th1관련【사이토카인】(【인타로이킨】12(IL-12))생산 능력이다.

예후검토는 Kaplan-Meier법으로 시행했다.

【성적】두개의 암腫에 있어서 예후 검토에서는, 비특이적 면역치료에 반응해서 IL-12 생산 능력의 상승을

인정한 군으로 연명 기간이 높은 것으로 인정되었다.

항암제인자 추가에서는 IL-12생산 능력의 양호군으로 새로운 연명 기간의 연장을 인정하고, (),

불량군에서의 연명 기간에 단축을 인정했다.

【결론】비특이적 면역치료에 있어서 IL-12의 생산 능력향상이 예후 연장에 기여하는 인자인 것이 확인되었다.

또 항암제병용에 즈음하는 IL-12생산 능력의 사전측정은 예후 연장 방침선택에 유용한 것이 시사되었다.

---------------------------------------- ----------------------------

1999 1010-11

2회 일본 대체 의료학회학술집회

AHCC의 당뇨병에 대한 임상·기초적 고찰」

岩本光存欣1)、小砂憲一2)、三浦健人2)、医療法人延山会1)、アミノアップ化学2

 

【목적】AHCC는 담자균추출물이며, 면역부활작용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 메커니즘(mechanism)은 다면적이여서, 생활 습관병등의 질환에 대한 증례등도 보고되어 있다.

거기에서 AHCC의 당뇨병에 대한 유효성을 밝히기 위해서 임상·기초의 양면에서 검토했다.

【방법】임상검토:당뇨병환자로 AHCC(3g/day) 6개월 이상 복용한 13 증례에 대해서, 수시 혈당, Glico

헤모글로빈(hemoglobin) A1C의 추이를 주요 지표로 해서 해석을 했다.

기초검토:Wister래트(rat) (6W♂)에 【스토레푸토조토신】(450mg/kg.i.v)을 투여하고, Ⅰ형태당뇨병

모델(model)이라고 했다.

미리 AHCC(3% 용액)을 마시게 한 군과 대조군(control) 에 대해서 일반상태, 혈당값, 췌장도 세포등의

비교를 행했다.

【결과·고찰】임상검토:전체를 통해서 혈당값이 강하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320117까지 저하한 증례도

인정을 받았다.

더욱 혈당값의 저하가 인정을 받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Glico 헤모글로빈(hemoglobin)A1C이 저하한

흥미 깊은 증례도 인정을 받았다.

기초검토:AHCC을 투여한 당뇨병 모델(model) 래트(rat), 혈당값의 저하, 【인슐린】의 분비, 췌장도

세포파괴의 방지등이 확인되었다.

이것들의 결과보다, AHCC효과의 메커니즘(mechanism)의 하나로서 【인슐린】의 분비 촉진, 췌장도

세포의 보호등에 의해 당뇨병을 개선시켜, 더욱 Glico 헤모글로빈(hemoglobin)A1C값을 저하시키는 것에

의해 당뇨병성 합병증의 예방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 시사되었다.

 

「악성질환 환자에 대한 AHCC 용량 의존의 고찰」

岩本光存欣1)、小砂憲一2)、若命浩二2)、医療法人延山会1)、アミノアップ化学2

 

【목적】AHCC 3g/day를 먹고 있는 암 환자에 대해서, 증례에 따라서는 6g/day로 증량하지 않으면

종양 마커(marker)의 저하가 없는 케이스(case)가 있었다.

6g/day로 증량했을 때의 AHCC 투여량과 종양 마커(marker)의 저하에 관련성이 보여진 증례를 몇 개 소개한다.

【대상】수술후 재발의 가능성이 있는 환자에 대해서 AHCC 3g/day를 투여하고, 종양 마커(marker)

추이에 대해서 검토를 행했다.

이 안에서 종양 마커(marker)가 증가 경향에 있었던 환자에 대하여 AHCC 6g/day로 해서 투여를 행했을

때의 경과에 대해서 검토했다.

 

【성적】대표적 증례(발췌):57세 남성방광 암 수술후 머지않아 재발, 항암제투여는 본인의 희망에 의해 중지.

AHCC 3g/day를 계속해서 먹고 있지만 종양 마커(marker)가 상승하고 있었다 (IAP:1586μg/ml).

AHCC 6g/day로 증량한 결과 약2개월째 정상값(IAP:500μg/ml)이하로 감소.

그 후, 마커(marker)는 기준값을 유지하고 있어, 본인은 식욕도 있고 건강하다.

그 밖의 증례(간 암:AFP, 자궁 암:CA125, 방광 암:IAP, 유방암:CA15-3, 폐암:CEA)등을 보고할 예정이다.

 

【결어】 AHCC의 사용량, 병용 약품등은 혈액 마커(marker)등을 모니터하면서 투여량을 결정 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 AHCC는 기능성식품이지만 병의 용태에 따라서는 의사의 관리나 어드바이스(advice) 아래 사용되어야

 가장 유용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금후의 과제로서 증례 총수에 대한 유효예의 산출, 종양 마커(marker)의 변화와 QOL(삶의질)의 상관 관련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 ----------------------------

1999 4 22-24

34회 유럽(Europe) 외과학회

AHCC의 간장 수술후 환자의 예후에 대한 개선 효과」

칸사이(關西) 의과대학 우에야마(上山) 야스오(泰男)

 

지금까지 면역부활에 의한 암에 대한 여러 가지 요법을 실행했다.

예를 들면, BCG, 【피시바닐】, PSK, 인터페론(interferon), IL-12, 몇개의 BRM이라고 불리는 제제가

임상적으로 채용되어 왔지만, 이들 제제는 임상에서 유효성이 해명될때 까지는 이르지 않고 있다.

AHCC는 새로운 BRM으로서 개발되었다.

AHCC는 수종의 버섯으로부터 얻을 수 있었던 추출물이다.

그리고 이 임상시험은 간장 수술후 환자의 예후에 대한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개발된 것이다.

이 시험은 조직학적으로 간세포 암이다라고 진단된 126명의 환자에 대하여 행하여진 것이다.

이 모든 환자는 육안으로 간세포 암을 뿌리부터 근치절제한 증례이며, 19922월∼19989월까지의 증례다.

126명의 환자 가운데 40명은 19948월∼19989월 사이에 간장적출 수술을 받고, 더욱 AHCC(3g/day)

수술후에 마시게 했다 (AHCC그룹).

더욱, 나머지 간장 암 수술후의 환자(컨트롤(control) 그룹: 이 환자는 수술후 AHCC를 마시게 한적이 없다)

이라고 AHCC그룹(group)을 생존율, 재발율에 대해서 비교했다.

수술 1년후 혈청의 종상 마커(marker) 수준(level)(α-【페토푸로테인)과 PIVKAⅡ)에 대해서

AHCC그룹(group)은 분명히 컨트롤(control) 그룹(group)에서 보다도 수치가 낮았다.

결과적으로 간장 암 환자의 수술후의 예후에 관해서 AHCC투여 군에 개선 효과가 보여졌다.

금후 더욱, 세세한 실험을 거듭하고, AHCC의 효과의 메커니즘(mechanism)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 ----------------------------

1999 329-31

119연회 일본 약학회

29(PO)10-012

Active Hexose Correlated Compound (AHCC)의 【스토레푸토조토신】유도 당뇨병 래트(rat)에 대한 효과」

㈱アミノアップ化学・生物化学研究室若命浩二、歩祥、小砂憲一

 

【목적】Active Hexose Correlated Compound(AHCC)은 담자균류의 배양 추출물이며, 면역부활작용이 있는

다당류로서 알려져 있다.

실제로 이 AHCC의 약리작용에 대해서는 BRM으로서의 작용, 즉 【사이토카인】(TNF, IFN, IL- 12)

유도 작용, 간질환의 예방·치료 작용등이 확인되어 있다.

이번 우리들은, AHCC의 【스토레푸토조토신】(STZ)유발 당뇨병 래트(rat)에 대한 작용에 대해서 혈당값,

랑게르한스섬(islets of Langerhans)의 조직 관찰을 중심으로 검토를 갔다.

【실험】당뇨병 모델(model)의 작성은 SD계 웅성 래트(rat)(4주 나이) 1 58마리에 무처리의 정상군,

AHCC 4% 물을 자유섭취시킨 AHCC투여 군, STZ(40mg/kg i.v.)처리한 당뇨병군, AHCC 4% 10일간전

투여+STZ의 병용 투여 군을 작성했다.

STZ투여 다음날, 7일후, 14일후에 채혈을 행해 혈청중의 혈당값, 【인슐린】값을 측정했다.

또한, 14일후에 취장, 간장을 적출하고, 취장에 대해서는 랑게르한스섬(islets of Langerhans)의 【인슐린】

항체염색을 행해 광학현미경에서 관찰을 행했다.

【결과 및 고찰】당뇨병군에 있어서는 STZ를 투여한 다음날보다 【인슐린】값이 감소하고, 혈당값의

상승이 확인되어, 거기에 따른 음수량의 증가, 체중의 감소등이 확인되었다.

한편, AHCC병용 투여 군에 있어서는 혈당값의 상승, 【인슐린】의 감소가 당뇨병군과 비교해서 유의에 억제되었다.

또한, 음수량의 증가, 체중의 감소도 유의에 억제되었다.

더욱, 취장조직에 있어서 AHCC병용 투여 군에서는 랑게르한스섬(islets of Langerhans)B세포의 파괴가 억제되어,

【인슐린】의 분비도 조직 수준(level)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보다 AHCC를 래트(rat)에 미리 투여하는 것에 의해, STZ에 의한 취장장기장해,또한 그것에

따르는 당뇨병상태의 예방이 확인되었다.

이것에 의해 AHCC는 STZ유래의 프리(free) 라디컬(Radical)을 소거하는 抗산화 물질로서 작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29(PO)10-013

AHCC의 항암제에 의한 간장해경감 효과」

㈱アミノアップ化学・生物化学研究室孫歩祥、石黒綾、向田朋美、若命浩二、小砂憲一

 

【목적】AHCC과 항암제와 동시에 투여하는 것에 의해, 항암 작용을 향상하거나, 항암제의 부작용을 억제하거나

하는 효과가 임상으로 보여져 왔다.

당연구실은, 항암제의 중심인 부작용에 대해서 동물 모델(model)을 쓰고, 지금까지 골수억제나 탈모라고 한

항암제가 일으키는 부작용을 경감하는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번에는 간장해라고 한 부작용에 대해서 검토했다.

【방법】 8주된 수컷, ddY계 마우스에 Mercaptopurine(6-MP) (30mg/kg/day)

Methotrexate(MTX)(2.5mg/kg/day)을 병용으로 주 5 4주일 경구투여 했다.

AHCC 1g/kg으로 동시에 경구투여 했다.

그 후, 동물의 체중과 장기의 중량의 변화, 말초피중의 세포수와 골수의 조혈상황, 간장해에 관한 혈청중의

생화학지표와 약품대사 효소 및 간장의 조직 변화를 조사했다.

【결과】 6-MP MTX를 병용 투여하면, 동물체중의 감소, 간장의 비대, 빈혈, 골수억제, 혈청

【토란스아미나제】의 상승, 알부민(albumin)과 【토리구리세라이도】의 강하, 간약품대사 효소활성의 저하,

간조직의 염증과, 간세포의 변성과 회사가 인정을 받았다.

그렇지만 AHCC를 동시 투여하는 것에 의해 간장해의 증상과 지표의 이상 및 그 밖의 항암제에 의한

부작용은 개선 혹은 완전히 방지되었다.

【결론】AHCC는 동물 모델(model)에 있어서, 항암제가 일으키는 골수억제나 탈모라고 한 부작용을

경감하는 것 이외에, 간장해에 대하여도 명확한 개선 효과가 시사되었다.

그 메커니즘(mechanism) AHCC의 핵산대사나 기능성단백질에의 보호 작용과 생각된다.

---------------------------------------- ----------------------------

1998 1122-23

1회 일본 대체 의료학회학술총회(현재/일본 보완 대체 의료학회)

「항암제가 유발하는 골수억제 및 탈모에 대한 AHCC의 경감 작용」

㈱アミノアップ化学孫歩祥ら

동물실험에 의해 항암제가 유발하는 골수억제와 탈모 모델(model)을 작성했다.

AHCC에는 이것들의 부작용을 경감하는 것이 보고 되었다.

---------------------------------------- ----------------------------

1998 1024-27

IMPACT OF BIOTECHNOLOGY ON CANCER(NICE, FRANCE)

Reduction of side effects of anti-cancer drugs by AHCC, mycelian extracts of cultured   basidiomycetes

B. Sun 1),   M. Fukuhara 2),   K. Kosuna 1), 1) Amino Up Chemical, Co. Ltd., 2)

Department of Pharmaceutical Sciences, National Institute of Public Health

동물실험 모델(model)에 있어서, 항암제가 일으키는 부작용을 AHCC이 경감하는 것을 보고.

CY 5-FU의 투여에 의해 항암제유발 골수억제 모델(model) Ara-C의 투여에 의한 탈모 모델(model)을 작성했다.

AHCC의 투여는 이 어느쪽의 부작용도 억제하는 것을 발표.

---------------------------------------- ----------------------------

1998 1014-1015

34회 일본 간 암 연구회

「간세포 암 수술후 보조 요법으로서의 AHCC투여가 예후에 끼치는 영향」

関西医科大学第1外科、アミノアップ化学ら

1992 2월부터 현재까지 간절제 치유 증례 123예의 수술후에  AHCC  1 3g경구투여43, 미투여 80예에

대해서 검토를 행한 결과, 1년후  2년후의 생존율은, AHCC투여 군쪽이 높고, 종상 마커(marker)에 대해서도

AHCC투여 군쪽에 확실한 저하가 인정을 받았다.

이것들은, 간세포 암 수술후 AHCC투여가 재발을 억제하고, 생존율의 개선에 연결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 ----------------------------

1998 9

Combination therapy of active hexose correlated compound (AHCC)

plus UFT significantly reduces the metastasis of rat mammary carcinoma

(Anti-Cancer Drugs 1998,9,343-350)

K. Matsushita, et al., Laboratory of Pathology, Cancer Institute,

Hokkaido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래트(rat) 짊어지지 않는 모델(model)에 있어서, AHCC와 항암제(UFT)의 경구투여가 림프(lympha) 절전위를

억제하는 것을 보고.

UFT 을 단독으로 투여한 군과 비교하고, UFT AHCC의 병용 투여 군에서는, 원발종양증식의 억제,

생존 기간의 연장, NK세포와 매크로(macro) 파지(phage)의 활성화, TNF-α과 IL-1α의 발현 유도가 인정을 받았다.

 

 

                       원문


 


AHCCに関する各学会での発表の経緯

1986年の開発以降、世界各地の学会や研究会にて「AHCC」や「担子菌培養抽出物」に関する研究報告が相次いで発表されています。ここでは、最近の学会発表の経緯と変遷を掲載します。今後も、各学会での「AHCC」などに関する新しい報告が期待されるでしょう。 AHCC首都圏健康相談室では、「噂や流行」だけでなく客観的な目をもって「AHCC」を見つめていきたいと思っています。また、新しい情報が入り次第、このページにて皆様に報告致します。尚、下記は学会発表の歩みであり、各研究者の所属や研究主体は、現在と異なる場合もありますのでご注意下さい。

2006年2月
第23回日本東方医学会(東京)

「担子菌培養抽出物AHCCの生体調節機能」
 ㈱アミノアップ化学 若命浩二、獨協医科大学 松崎茂ら

2005年7月
第15回日本呼吸管理学会学術集会(仙台)

「慢性呼吸器疾患における代替療法の有用性について
         -キノコ製剤(AHCC、メシマコブ)の使用経験-」
 要町病院 吉沢孝之ら

2004年3月
第124回日本薬学会(大阪)

AHCC及び他剤の併用による免疫賦活作用および抗がん剤の副作用軽減効果」
 ㈱アミノアップ化学 若命浩二ら

2004年1月
第2回臨床獣医学「AtoZ」(名古屋)

「担子菌培養抽出物AHCCの免疫賦活及び抗腫瘍効果に関する基礎と臨床」
 ㈱アミノアップ化学 若命浩二ら

2003年10月
第6回日本補完代替医療学会学術集会(仙台)

「活性酸素によるオルニチン脱炭酸酵素(ODC)の誘導とAHCCによる抑制効果」
 ㈱アミノアップ化学 若命浩二ら

2003年6月
第28回日本外科連合学会学術集会(東京)

「外科系治療における健康補助食品の応用」
 上山泰男、松井陽一、川口雄才(関西医科大学)

2002年4月
第93回アメリカがん学会(サンフランシスコ、アメリカ)

「Antitumor effects of active hexose correlated cmoopound (AHCC) and genistein concentrated polysaccharide (GCP) in hepatocarcinogenetic mice」
 ㈱アミノアップ化学 孫歩祥ら

2001年11月
第11回ASEAN内分泌学会(バリ、インドネシア)

「担子菌抽出物AHCCのラットにおけるストレプトゾトシン誘導糖尿病および化学物質誘導胸腺アポトーシスに対する防護効果」
 ㈱アミノアップ化学 若命浩二ら

2001年11月7日
第14回バイオセラピィ学会学術集会総会

「がん免疫治療におけるパラメータと化学療法併用の意義」
宇野克明、筑丸志津子、細川丈志、生越喬二、幕内博康、東海大学医学部付属病院外科、医療法人財団コンフォート病院
【目的】悪性腫瘍の病態において、その進行・発病には担がん宿主の有する細胞性免疫機構が深く関与する事が知られ、これを応用した各種免疫治療が実施されている。今回我々は進行胃がん症例を中心、に植物性多糖類をBRMとして応用した非特異的免疫治療を実施した。その上で免疫学的パラメータの推移と予後の関係を調査し、望ましい治療法ならびに抗がん剤併用の影響を検討した。
【方法】平成11年2月より平成13年8月の期間に外来診療を行ったStage-IV胃がん432症例を検討対象とした。非特異的免疫治療は希望者全員に実施し、初回受診時よりBRMとしてキノコ系植物性多糖類抽出物(AHCC)ならびに、ハーブ系植物性多糖類・アミノ酸複合体(D-12)の摂取を行った。なお化学療法併用例は中止せず、両者併用による治療を継続した。免疫学的パラメータの検討は末梢静脈・ヘパリンNa採血を行い、PHA刺激にもとづくThl関連サイトカイン(インターロイキン12(IL-12))産生能を測定した。予後はKaplan-Meier法による累積生存検討を行った。
【成績】治療によって82%の症例に良好なThl関連サイトカイン(IL-12)産生能の上昇を認めた。予後の検討ではIL-12産生能の上昇・維持可能例において、免疫治療を実施しない群に比較して有意な延命を認めた。引き続く非特異的免疫治療と化学療法併用群の検討では、Thl関連サイトカイン(IL-12)産生能上昇群において良好な予後延長が確認できた。
【総括】植物性多糖類をBRMとして応用するがん免疫治療において、適切なThl関連サイトカイン(IL-12)産生能の上昇・維持が重要であると示唆された。なお化学療法の実施に際してはIL-12産生能の測定を行い、その産生能改善の良否が治療予後推測に意義あることと考えられた。

2001年10月18日
第9回日本消化器関連学会

「Th1関連サイトカインと抗がん剤併用を因子とした消化器がん・免疫治療例の予後検討」
宇野 克明、東海大・外科、医療法人財団コンフォート病院
【目的】各種がんにおける発生と進展には担がん宿主の細胞性免疫機構が深く関与することが知られ、特に抗腫瘍効果を有するTh1関連サイトカインに注目が集まっている。今回我々は免疫治療を実施した消化器がん患者の治療方針選択手段を検索する目的でTh1関連サイトカイン値ならびに抗がん剤併用の有無を因子とした予後検討を行った。
【方法】平成11年2月より平成13年3月の期間に非特異的免疫治療を実施したStage-4消化器がん(胃がん・結腸がん)患者188名を検討対象とした。全例とも初回受診時より植物性多糖類抽出物(AHCCおよびD-12)をBRMとして利用した非特異的免疫治療を開始し、治療開始後2ヶ月時点での末梢静脈・ヘパリンNa採血を実施した。検討項目はPHA刺激にもとづくTh1関連サイトカイン(インターロイキン12(IL-12))産生能である。予後検討はKaplan-Meier法によって行った。
【成績】両がん腫における予後検討では、非特異的免疫治療に反応してIL-12産生能の上昇を認めた群で延命期間に優位な向上を認めた。抗がん剤因子追加ではIL-12産生能の良好群でさらなる延命期間の延長を認め、同、不良群での延命期間に短縮を認めた。
【結論】非特異的免疫治療においてIL-12の産生能向上が予後延長に寄与する因子であることが確認された。また抗がん剤併用に際するIL-12産生能の事前測定は予後延長の方針選択に有用であることが示唆された。

1999年10月10-11日
第2回 日本代替医療学会学術集会

AHCCの糖尿病に対する臨床・基礎的考察」
小砂憲一2)、三浦健人2)、医療法人 延山会1)、アミノアップ化学2)
【目的】AHCCは担子菌抽出物であり、免疫賦活作用があることが知られている。しかし、そのメカニズムは多面的であり、生活習慣病などの疾患に対する症例なども報告されている。そこで今回、AHCCの糖尿病に対する有効性を明らかにするために、臨床・基礎の両面から検討した。
【方法】臨床検討:糖尿病患者でAHCC(3g/day)を6ヵ月以上服用した13症例について、随時血糖、グリコヘモグロビンA1Cの推移を主な指標として解析を行った。
基礎検討:Wisterラット(6W♂)にストレプトゾトシン(450mg/kg.i.v)を投与し、Ⅰ型糖尿病モデルとした。あらかじめAHCC(3%溶液)を飲ませた群とコントロール群について一般状態、血糖値、膵島細胞等の比較を行った。
【結果・考察】臨床検討:全体を通して、血糖値が降下する傾向にあり、320→117まで低下した症例も認められた。さらに血糖値の低下が認められなかったにもかかわらず、グリコヘモグロビンA1Cが低下した興味深い症例も認められた。
基礎検討:AHCCを投与した糖尿病モデルラットは、血糖値の低下、インスリンの分泌、膵島細胞破壊の防止などが確認された。これらの結果より、AHCC効果のメカニズムのひとつとしてインスリンの分泌促進、膵島細胞の保護などにより糖尿病を改善させ、さらにグリコヘモグロビンA1C値を低下させることにより糖尿病性合併症の予防が期待できることが示唆された。
「悪性疾患患者に対するAHCC用量依存の考察」
小砂憲一2)、若命浩二2)、医療法人 延山会1)、アミノアップ化学2)
【目的】AHCC3g/dayを飲んでいるがん患者について、症例によっては6g/dayに増量しなければ腫瘍マーカーの低下が認められないケースがあった。6g/dayに増量した際の有効例のうちAHCC投与量と腫瘍マーカーの低下に関連性がみられた症例をいくつか紹介する。
【対象】術後再発の可能性がある患者についてAHCC3g/dayを投与し、腫瘍マーカーの推移について検討を行った。この中で腫瘍マーカーが増加傾向にあった患者に対してAHCCを6g/dayにして投与を行った際の経過について検討した。今回の成績は有効例についてのみレトロスペクティブに検討したものである。
【成績】代表的症例(抜粋)症例:57才 男性 膀胱がん術後間もなく再発、抗がん剤投与は本人の希望により中止。
AHCC3g/dayを飲み続けるが腫瘍マーカーが上昇傾向にあった(IAP:1586μg/ml)。 AHCCを6g/dayに増量した結果、約2ヶ月で正常値(IAP:500μg/ml)以下に減少。その後、マーカーは基準値を維持しており、本人は食欲もありいたって元気である。
その他の症例(肝がん:AFP、子宮がん:CA125、膀胱がん:IAP、乳がん:CA15-3、肺がん:CEA)等の報告の予定である。
【結語】これらの成績により、AHCCの使用量、併用薬物などは血液マーカーなどをモニターしながら投与量を決めるなどの配慮が必要である。すなわち、AHCCは機能性食品であるが、病態によっては医師の管理・アドバイスのもとに使用されて最も有用性を発揮するものと考えられる。今後の課題として症例総数に対する有効例の算出、腫瘍マーカーの変化とQOLの相関についてなどを検討する予定である。

1999年4月22-24日
第34回 ヨーロッパ外科学会

AHCCの肝臓術後患者の予後に対する改善効果」
関西医科大学 上山泰男ら
これまでに免疫賦活によるがんに対する様々な療法が試みられてきた。例えば、BCG、ピシバニール、PSK、インターフェロン、IL-12など、いくつかのBRMと呼ばれる製剤が臨床的に用いられてきたが、これらの製剤は臨床で有効性が解明されるまでは至っていない。 AHCCは新しいBRMとして開発された。 AHCCは数種のキノコから得られた抽出物である。そして、この臨床試験は肝臓術後患者の予後に対する改善効果を評価するために開発されたものである。この試験は組織学的に肝細胞がんであると診断された126人の患者に対して行われたものである。この全ての患者は肉眼的に肝細胞がんを根治切除した症例であり、1992年2月~1998年9月までの症例である。126名の患者のうち40名は1994年8月~1998年9月の間に肝臓摘出手術を受け、さらにAHCC(3g/day)を術後に飲ませた(AHCCグループ)。さらに、残りの肝臓がん術後の患者(コントロールグループ:この患者は術後のAHCCを飲ませてはいない)とAHCCグループを生存率、再発率について比較した。手術1年後、血清の腫瘍マーカーレベル(α-フェトプロテインとPIVKAⅡ)についてAHCCグループは明らかにコントロールグループよりも低値であった。結果的に肝臓がん患者の術後の予後に関してAHCC投与群に改善効果が見られた。今後さらに、細かい実験を重ねて、AHCCの効果のメカニズムをはっきりさせる必要がある。

1999年3月29-31日
第119年会 日本薬学会

29(PO)10-012
「Active Hexose Correlated Compound (AHCC)のストレプトゾトシン誘導糖尿病ラットに対する効果」
㈱アミノアップ化学・生物化学研究室 若命浩二、孫歩祥、小砂憲一
【目的】Active Hexose Correlated Compound(AHCC)は担子菌類の培養抽出物であり、免疫賦活作用のある多糖類として知られている。実際にこのAHCCの薬理作用についてはBRMとしての作用、すなわちサイトカイン(TNF、IFN、IL-12)の誘導作用、肝疾患の予防・治療作用などが確認されている。今回我々は、AHCCのストレプトゾトシン(STZ)誘発糖尿病ラットに対する作用について血糖値、ランゲルハンス島の組織観察を中心に検討を行った。
【実験】糖尿病モデルの作成はSD系雄性ラット(4週齢)1群5~8匹に無処理の正常群、AHCC4%水を自由摂取させたAHCC投与群、STZ(40mg/kg i.v.)処理した糖尿病群、AHCC4%水10日間前投与+STZの併用投与群を作成した。STZ投与翌日、7日後、14日後に採血を行い血清中の血糖値、インスリン値を測定した。また、14日後に膵臓、肝臓を摘出し、膵臓についてはランゲルハンス島のインスリン抗体染色を行い光学顕微鏡にて観察を行った。
【結果及び考察】糖尿病群においてはSTZを投与した翌日よりインスリン値が減少し、血糖値の上昇が確認され、それに伴い飲水量の増加、体重の減少などが確認された。一方、AHCC併用投与群においては血糖値の上昇、インスリンの減少が糖尿病群と比較して有意に抑制された。また、飲水量の増加、体重の減少も有意に抑制された。さらに、膵臓組織においてAHCC併用投与群ではランゲルハンス島B細胞の破壊が抑制され、インスリンの分泌も組織レベルで確認された。以上の結果よりAHCCをラットにあらかじめ投与することにより、STZによる膵臓臓器障害、またそれに伴う糖尿病状態の予防が確認された。このことにより、AHCCはSTZ由来のフリーラジカルを消去する抗酸化物質として作用している可能性が示唆された。

29(PO)10-013
AHCCの抗がん剤による肝障害軽減効果」
㈱アミノアップ化学・生物化学研究室 孫歩祥、石黒綾、向田朋美、若命浩二、小砂憲一
【目的】AHCCと抗がん剤と同時に投与することにより、抗がん作用を向上したり、抗がん剤の副作用を抑制したりする効果が臨床知見から示されている。当研究室は、抗がん剤の主な副作用について動物モデルを用いて、いままでに骨髄抑制や脱毛といった抗がん剤の引き起こす副作用を軽減する効果が確認された。今回、肝障害といった副作用について検討した。
【方法】8週令の雄性、ddY系マウスにMercaptopurine(6-MP)(30mg/kg/day)とMethotrexate(MTX)(2.5mg/kg/day)を併用で週5回4週間経口投与した。 AHCCは1g/kgで同時に経口投与した。その後、動物の体重と臓器の重量の変化、末梢血中の細胞数と骨髄の造血状況、肝障害に関する血清中の生化学指標と薬物代謝酵素および肝臓の組織変化を調べた。
【結果】6-MPとMTXを併用投与すると、動物体重の減少、肝臓の肥大、貧血、骨髄抑制、血清トランスアミナーゼの上昇、アルブミンとトリグリセライドの降下、肝薬物代謝酵素活性の低下、肝組織の炎症と、肝細胞の変性と壊死が認められた。しかしながら、AHCCを同時投与することによりこれらの肝障害の症状と指標の異常およびその他の抗がん剤による副作用は改善もしくは完全に防止された。
【結論】AHCCは動物モデルにおいて、抗がん剤の引き起こす骨髄抑制や脱毛といった副作用を軽減するほかに、肝障害に対しても明らかな改善効果が示唆された。そのメカニズムはAHCCの核酸代謝や機能性蛋白質への保護作用と考えられる。

1998年11月22-23日
第1回 日本代替医療学会学術総会
(現在/日本補完代替医療学会)
「抗がん剤が誘発する骨髄抑制及び脱毛に対する
Active Hexose Correlated Compound (AHCC)の軽減作用」
㈱アミノアップ化学 孫歩祥ら
動物実験により抗がん剤が誘発する骨髄抑制と脱毛モデルを作成した。AHCCにはこれらの副作用を軽減することを報告した。

1998年10月24-27日
IMPACT OF BIOTECHNOLOGY ON CANCER (NICE, FRANCE)

Reduction of side effects of anti-cancer drugs by AHCC, mycelian extracts of cultured basidiomycetes」
B. Sun 1), M. Fukuhara 2), K. Kosuna 1), 1) Amino Up Chemical, Co. Ltd., 2)
Department of Pharmaceutical Sciences, National Institute of Public Health
動物実験モデルにおいて、抗がん剤が引き起こす副作用をAHCCが軽減することを報告。 CYおよび5-FUの投与により抗がん剤誘発骨髄抑制モデルを、またAra-Cの投与により脱毛モデルを作成した。 AHCCの投与は、このいずれの副作用も抑制することを発表。

1998年10月14-10月15日
第34回 日本肝がん研究会

「肝細胞がん術後補助療法としてのAHCC投与が予後に及ぼす影響」
関西医科大学第1外科、アミノアップ化学ら
1992年2月から現在までの肝切除治癒症例123例の術後に AHCC 1日3g経口投与43例、未投与80例について検討を行った結果、1年後及び2年後の生存率は、AHCC投与群の方が高く、腫瘍マーカーについてもAHCC投与群の方に有意な低下が認められた。これらは、肝細胞がん術後AHCC投与が再発を抑制し、生存率の改善につながる可能性を示唆している。

1998年9月
「Combination therapy of active hexose correlated compound (AHCC)
plus UFT significantly reduces the metastasis of rat mammary carcinoma」
Anti-Cancer Drugs 1998, 9, 343-350)
K. Matsushita, et al., Laboratory of Pathology, Cancer Institute, Hokkaido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ラット担がんモデルにおいて、AHCCと抗がん剤(UFT)の経口投与がリンパ節転移を抑制することを報告。 UFTを単独で投与した群と比較し、UFTとAHCCの併用投与群では、原発腫瘍増殖の抑制、生存期間の延長、NK細胞とマクロファージの活性化、TNF-αとIL-1αの発現誘導が認められた。